top of page
성인 교육 과정

사회적경제 정책 모음집

최종 수정일: 2021년 4월 6일

2017년 5월부터 2019년 4월까지 현 정부의 사회적경제 관련 정책을 모아 정리한 자료입니다.

사회적경제와 관련한 각 정부부처별 정책을 한눈에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1.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

2. 사회통합적 평창동계올림픽 유산(Legacy) 창출 방안

3. 사회적금융 활성화 방안

4. 소셜벤처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방안

5. 사회적경제 인재양성 종합계획

6. 과학기술인 협동조합 2단계 혁신성장전략

7. 자활기업 활성화 대책

8.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마을관리 협동조합 사업 추진 방안

9.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학교 내 협동조합 지원계획

10. 제3차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2018년~2022년)

11. 사회주택 활성화 방안

12. 사회적경제를 활용한 발달장애인 자조모임 활성화 지원 방안

13. 사회적농업 추진전략

14. 복권기금의 사회적 가치 제고 방안


사회적경제 정책 모음집
.pdf
Download PDF • 7.41MB

조회수 19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연대와 협력으로 세상을 바꾸다. 전환의 시대와 사회적경제의 미래”라는 주제로 진행된 2021 사회적경제 국제포럼 발표 자료입니다. 주요 발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조연설 1 (무하마드 유누스) 2. 기조연설 2 : “대전환기 사회적경제의 진화방향” (김용진) 3. 발제 1 : 공공조달, 공공-사회적경제 협력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 (요안 노기에)

최근 상업적 기업의 ESG 경영이 화두입니다. 그런데 그 내용이 표준(공시)지표, 표준화기관, 프레임워크, 평가기관, 투자기관 등으로 복잡하고 이해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습니다. 재미난청춘세상의 주임 멘토이신 최중석 교수님께서 사회적경제 영역 혹은 기타 ESG에 관심을 가진 분들의 이해를 돕고자 칼럼을 작성하셨기에 소개합니다.

본 보고서는 2020년말 기준으로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이 도매기금으로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과 함께한 투융자의 임팩트 영역과 개별 지원건별로 사회적경제기업에게 지원한 내용을 분석한 자료로, 투융자 대상인 사회적경제기업(소셜벤처포함)의 현황과 사회적 성과(SV: Social Value) 및 개별 임팩트 KPI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임팩트 평가 방법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