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시대의 글로벌 사회적경제 이야기
본 자료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한 것 중에서 발췌한 것으로 코로나19 환경에서 성공한 두가지 사회적경제기업 사례입니다.
1. 코로나 시대의 교육 기술, 보들러닝
2. 기술로 놓는 언어의 다리, ARA
본 자료는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한 것 중에서 발췌한 것으로 코로나19 환경에서 성공한 두가지 사회적경제기업 사례입니다.
1. 코로나 시대의 교육 기술, 보들러닝
2. 기술로 놓는 언어의 다리, ARA
“연대와 협력으로 세상을 바꾸다. 전환의 시대와 사회적경제의 미래”라는 주제로 진행된 2021 사회적경제 국제포럼 발표 자료입니다. 주요 발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조연설 1 (무하마드 유누스) 2. 기조연설 2 : “대전환기 사회적경제의 진화방향” (김용진) 3. 발제 1 : 공공조달, 공공-사회적경제 협력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 (요안 노기에)
최근 상업적 기업의 ESG 경영이 화두입니다. 그런데 그 내용이 표준(공시)지표, 표준화기관, 프레임워크, 평가기관, 투자기관 등으로 복잡하고 이해하는데도 어려움이 있습니다. 재미난청춘세상의 주임 멘토이신 최중석 교수님께서 사회적경제 영역 혹은 기타 ESG에 관심을 가진 분들의 이해를 돕고자 칼럼을 작성하셨기에 소개합니다.
본 보고서는 2020년말 기준으로 한국사회가치연대기금이 도매기금으로 사회적 금융 중개기관과 함께한 투융자의 임팩트 영역과 개별 지원건별로 사회적경제기업에게 지원한 내용을 분석한 자료로, 투융자 대상인 사회적경제기업(소셜벤처포함)의 현황과 사회적 성과(SV: Social Value) 및 개별 임팩트 KPI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임팩트 평가 방법